[뉴스초점] 신규확진 사흘 연속 600명대…점진적 확산<br /><br /><br />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연일 600명대를 이어가면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'3차 대유행' 때와 달리 폭발적으로 증가하기보다 점진적으로 확산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자세한 소식,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최근 들어 확진자 수가 가파른 급증세를 보이기보다 꾸준히 700명 안팎의 양상을 띠고 있습니다. 일상적인 생활 공간 곳곳에서 확진자가 나오고 있는데요. 3차 유행 때와 비교해볼 때 현재 추이의 위험성, 어떻게 평가하고 계십니까?<br /><br /> 정부는 거리두기 단계 격상에는 신중한 모습입니다. 현재 확진자가 급증하는 추세는 아니라면서 의료 대응 여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'사회적 거리두기' 단계 격상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는데요. 이러다가 4차 유행 억제의 골든타임을 놓치는 게 아니냔 우려도 커지고 있는데요?<br /><br /> 지난달 발생한 신규 확진자의 22.5%가 선행 확진자의 진단검사 지연으로 추가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. 신속한 진단검사로 조기에 확진자를 가려냈다면 확진자 5명 중 1명을 줄일 수 있었다는 의미인데요. 이런 사례를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.<br /><br /> 수급 불안이 심화하고 있는 백신 얘기도 짚어보겠습니다. 최근엔 부스터 샷이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습니다. 아스트라제네카(AZ)나 화이자처럼 두 번 접종하는 백신의 경우 3차 접종을 하는 식인데, 미국 정부가 본격 검토에 나섰습니다. 이유가 뭔가요?<br /><br /> 문제는 미국에서 수요가 늘면 '백신 이기주의'가 더 기승을 부릴 수 있다는 점인데요. 미국 정부의 결정이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 않습니까? 우리나라도 기존에 구매 계약한 물량 도입 시점이 늦춰질 가능성은 없나요?<br /><br /> 또한 현재 필요한 물량은 물론이고 부스터 샷 가능성까지 고려해 백신 물량을 추가로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. 우리 정부도 검토에 나서야 하는 건지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백신이 혈전 논란으로 접종이 차질을 빚자 프랑스와 독일 등에선 교차 접종을 시도하고 있습니다. 개발 방식이 다른 백신을 차례로 맞는 것을 말하는데요. 백신 효과가 입증이 된 걸까요?<br /><br /> 정부는 일단 확보한 백신 접종 속도를 높이기 위해 예방접종센터를 기존 71개에서 어제 175개로 늘렸습니다. 속도가 좀 빨라질까요?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